급발진·시동꺼짐과 브레이크 동작
1. 급발진 발생동기 급발진은 ECU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양자화(quantization) 하는 과정. ECU의 부품열화(component deterioration)와 내부저항증가(increasing internal resistance) 그리고 통신선로의 전기적 외란(electrical disturbance)등으로 인하여 ECU의 운전모드를 담당하는 “IC에 전자적으로 락(Lock)이 걸리면” 엔진을 통제하는 최대의 펄스가 출력되어 rpm이 극치에 달해버리기 때문입니다.
다만 지금의 ECU는 컴퓨터의 CPU에 해당하지만 D드라이브 같이 저장기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전원이 끊어지면 운전모드(컴퓨터의 윈도우에 해당) 외 모든 데이터는 소멸되어 버리므로 원인 발견이 불가능합니다.
2. 급발진시 브레이크가 말을 안 듣는 이유 급발진시는 엔진의 한계동작오버(Limit Operation Over)로 인한 배력장치(Break booste)의 “외력(흡기다기관 공기압력과 유압 등)이 너무 강하여” 브레이크가 제대로 동작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3. 시동꺼짐시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못하는 이유 “시동이 꺼지면 외력(흡기다기관 공기압력과 유압 등)이 사라지므로”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못합니다. 따라서 배력장치의 외력은 엔진동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므로 엔진출력에 영향을 주는 모든 기능들은 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급발진과 시동꺼짐시의 브레이크 동작은 "엔진동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제공=V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