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분야는 이런 문제를 왜 등한시 할까? 1. 자동차 기술 현주소 기계로만 동작하던 자동차가 전기와 전자제어기술을 이용하여 내연기관차는 성능. 연비. 배출가스등이 개선되었고, 다양한 기능 부과로 편리성도 향상되었지만 잦은 배터리방전, 시동꺼짐, 진동과 소음, 급발진 의심 증상 등 예상치도 못한 부작용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연기관차는 운행 중에 시동꺼짐이 생기고,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등에서 급발진 의심 증상이 다반사로 발생하며, 전기차에서는 배터리화재가 일어나고 있지만 뚜렷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2. VAD가 주장하는 자동차 문제점 여기에는 DC전기를 사용하면 공급전압의 20~30배에 달하는 역기전압(반대전압)이 ECU동작을 마비 시킬수 있는가 하면 그 외 전자파 전압 분포정수전압 등도 ECU가 만드는 각종 데이터의 생성과 전송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적인 결점을 재거 또는 억제시켜 성능. 연비. 배출가스 등을 개선하는 특허제품인 VAD가 2009년도에는 연비과대광고(30%)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판매중지를 당하기도 하였으나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연료절감기에 대한 측정제도가 없다는 답변 근거로 허위과대광고라는 누명을 벗기도 하였습니다. 3. VAD개발 집념 생명보다 더 소중한 것이 없다는 일념으로 성능. 연비. 배출가스를 향상시키는 VAD제품을 현재는 시동꺼짐 및 급발진 증상까지 개선시키는 제품으로 업그레이드(9TH) 시켰으며, 이를 국민권익위원회를 통하여 국민제안과 민원을 제기하여 심사가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제공=V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