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액이란 무엇인가?
1.부동액의 동결방지 성능
부동액의 주원료는 동결방지 작용을 하는 "에틸렌그리콜: 부동액 전체비율에 90-95%"로서 세계적으로 동일하다.그러므로 저질불량의 알콜 혼합품 또는 물이 많이 섞인 제품이 아닌 다음에는 같은 농도에서 동결을 방지하는 능력은 동일하다. 동결방지를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정농도(20%이상에서 60%이하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사용한다. 부동액의 농도와 어는점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중계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농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이며 유동성 떨어져 냉각성능이 현저히 떨어져 오버히트,연비손실등으로 나타난다. 내연기관인 자동차의 엔진을 작동하기 위하여 연료를 연소 시킬 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1/3정도만 기계적인 에너지로 전환되어 자동차가 주행되며 나머지 2/3의 열은 효과적으로 엔진 밖으로 제거되지 않으면 엔진이 과열되어 작동할 수없게 된다. 물은 냉매로 사용할 경우 물의 열용량이 커서 효과적으로 열을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동결할 때는 약 9%의 부피팽창(얼을 경우 체적증가)을 일으켜 엔진을 파괴 시킨다.또한 물이나 저질의 부동액을 사용하게 되면 엔진 블럭과 물 펌프의 캐비테이션이나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현상을 일으켜 자동차의 수명을 단축 시킬 뿐만 아니라 부식 생성물에 의해 냉각효과가 낮아져 엔진의 과열을 초래하므로 양질의 부동액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2.부동액의 농도 조절법
만일 측정한 농도가 희망하는 농도(어는점)보다 낮을 때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 계산하여 보충하면 된다.
X = A (C-B)/100-B
X: 원액의 보충량(ℓ) A:냉각수 총 용량(ℓ) B:현재 사용중인 액의 농도(용량 %)
C:목적하는 액의 농도(용량%)
계산의 방법은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냉각수 총 용량이 10ℓ인 차량에 현재 농도가 20%인 것을 30%의 농도로 하고 싶을 때는 a: 10ℓ, b:20%,c:30% 이므로 공식에 대입하면
X = 10(30-20)/100-20 = 1.25ℓ 이므로 부동액을 1.25ℓ만 넣으면 30%의 농도가 된다.
3.부동액의 부식방지
부동액의 품질은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각종재질을 얼마나 보호해 주는냐에 따라 차이가 난다. 냉각수와 접촉하는 부위로는 라디에이터,엔진헤드,블럭,히터,물 펌프,고무호스 등으로서 알루미늄,주철,강,황동,동,땜납등의 재질로 되어있다. 부동액은 이러한 재질로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부식방지제,산화방지제,소포제등의 특수한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한다.특히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종 냉각회로에 물과 부동액이 반응하여 침전물이 생기고 급기야 금속을 부식시키게 된다. 부동액 교환은 1-2년 안에 교환을 하여야 한다.
4.부동액의 일반적인 성질
겨울이 시작되면서 부동액을 넣었을 때 실내에서 냄새가 나며 눈이 따가운 경우가 있다.이는 실내에 설치된 히터 라디에이터 또는 연결호스에서 부동액이 새면서 휘발하기 때문이다. 물이 새지 않던 호스 끝단이나 연결부위에서 부동액이 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을것이다.이것은 표면장력이 매우 낮은 부동액이 혼합되면 누수 현상이 생긴다.
항목
|
물
|
부동액(에틸렌글리콜)
|
상태
|
액체
|
무색,무취의 흡습성의 시럽
|
끓는점(760mmHg)
|
100℃
|
197℃
|
응고점(어는점)
|
0℃
|
-12.6℃
|
비중(20℃)
|
0.999
|
1.113(물보다 무거움)
|
표면장력
|
72.5
|
46.5
|
비열
|
1
|
0.561
|
열팽창(끊으면 변할 수 있는 것)
|
3%
|
4.2%
|
굴정율
|
1.333
|
1.4318
|
5.부동액 사용시 주의사항
1)부동액이 제조사마다의 배합비가 다르며 품질의 차이가 심하므로 자동차메이커가 추천하는 동일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환시에는 냉각회로내의 기존의 냉각수를 완전히 배출 시킨 후 수돗물을 주입 후 공회전 시켜 다시 배출하는 작업을 2회 이상 해주는 것이 교환하는 새로운 냉각수의 효과를 100% 발휘하게 된다.
2)부동액의 농도가 60% 이상이면 동결방지 및 냉각효과가 감소하며 30%이하일 경우는 부식방지능력이 약하므로 30%이상,60%이하의 농도로 사용하여야 한다.
3)50%농도의 부동액 혼합수일 경우 냉각수 온도가 0℃에서 82℃로 상승될 때 약 5%정도 팽창하여 넘치므로 주입시에는 냉각수 용량의 4-5%정도를 적게 넣는 것이 좋으며 라디에이터에서 조금 부족하다고 하여 물을 자꾸 채워 넣는 것은 팽창에 의한 손실로 인해 냉각수농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냉각수 보조탱크를 라디에이터 캡과 연결하여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손실이 없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