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OME > VAD월드 > 자동차상식  
   
자동차 등화장치 관리
작성일
2008-04-10 11:48:13
조회수
4179
자동차 등화장치 관리

■ 등화장치 관리
■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구는 서로 다른 용량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보통 차량은 용량이 60w/55w인 전구를 많이 사용한다.
■ 전구는 소모품이며 수명은 보통 1년을 기준이라고 생각하되 끊어지거나 어두우면 교환하는 것이 좋다.
■ 교환시 할로겐 램프의 경우는 유리부분을 손으로 만지면 교환시 오염이 되었다면 알코올로 세척 후 건조하여 다시 사용하면 된다
■ 전면부에 충돌사고를 경험한 차량은 전조등의 조사위치가 맞지 않고 틀어질 수 있으므로 야간주행시 운전시야가 어둡다면 정비소에 가서 조사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 땅거미가 지고 어둠이 깔리면 곧 바로 전조등을 켜 안전하게 운행하는 것이 좋다
■ 나라에 따라서는 낮에도 전조등을 켜는 것이 의무 조항인 나라도 있다
■ 전조등을 밝게 하겠다고 전구의 용량을 두배 이상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전조등이 순간적으로 밝아 질 수는 있으나 배선의 용량이 부족해 발열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으니 규정용량의 전구를 사용해야 한다
■ 안개등은 안개가 낀 날이나 흐린 날에 사용하며 안개속 투과성이 좋고 비상용 차량과의 혼돈을 피한 노란색을 사용한다
■ 또 방향등은 한쪽 전구가 끊어지거나 작동이 안되면 정상일 때 보다 무척 빠르게 깜박거리는데 이때는 끊어지거나 작동이 안되면 정상일 때 보다 무척 빠르게 깜박거리는데 이때는 귾어진 전구를 교환하거나 접촉불량 부위를 수리하면 된다
■ 번호등과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전구는 그 종류도 많고 모양과 규격용량이 여러 가지다
■ 그러므로 정비작업 중 반드시 규격을 확인해야 하며 전구측면에 수치로 표시되어 있는 해당 전구별 규격용량은 취급설명서의 표기를 참고하면 된다
■ 그리고 전구를 교환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다시 끊어지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이는 규정용량이 맞지 않은 전구를 사용했거나 전구 장착소켓의 손상이나 접촉불량으로 인한 결함으로 이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

   
   
번 호
제 목
등록일자
조회수
409
  배터리관리 요령
2023-03-07
348
408
  배터리방전을 방지하는 요령
2022-10-22
2455
407
  그랜저hg미션증상
2018-07-06
2780
406
  자동차 연비가 줄어드는 이유가 무엇일까여ㅜㅜ....
2018-03-16
2499
405
  도요타 급발진 조사에 NASA도 참여
2010-03-31
5844
404
  차 연비에 대하여
2009-10-20
4164
403
  ECU의 양자화 결점과 연비관계
2009-02-24
4264
402
  노크센서
2008-09-10
6301
401
  인히비터 스위치 결함 문제에 대해
2008-08-11
10852
400
  전기자동차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2008-07-04
4015
399
  자동차 상식-자동차 사고시 대처 방법
2008-06-09
4233
398
  자동차 관리요령 (자동차 10년이상 타려면..)
2008-05-19
4758
397
  자동차 부품 교환시기
2008-05-19
4945
396
  타이어 관리 브레이크액 관리방법
2008-04-10
4806
  자동차 등화장치 관리
2008-04-10
4179